역지사지…시작은 생각이지만 끝은 실천 [start-up]
[최신 인문사회과학이론으로 알아보는 직장인의 심리] 역지사지(易地思之)는 ‘상대의 처지에서 생각한다’는 뜻으로 사용되어 왔다. 출처는 맹자(孟子)의 ‘이루(離壘)’ 편으로 알려져 있다.
맹자는 중국 고전의 근간인 사서오경(四書五經) 중 하나로 사상/철학서, 실용정치서적으로 분류된다. 위나라 혜왕에게 했던 조언을 담은 “양혜왕” 편부터 정치와 학문의 마음자세를 논한 “진심” 편까지 7편에, 각 편의 하위 장을 모두 합치면 259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루”편에서의 ‘이루’란 사람의 이름이다. 그는 시력이 무척 좋아 백보 밖에서도 사물을 구분할 수 있었다. 그런데 맹자는 이루를 예로 들면서 아무리 눈이 밝아도 먹줄이 없으면 물건을 곧거나 둥글게 깎지 못한다고 말했다. 세상을 사는데 법규와 제도가 어째서 중요한 지를 역설한 것이다.
원전을 보면 역지즉개연(易地則皆然)으로 쓰고 있다. 풀어보면 ‘처지를 바꾸어도 한결 같이 그렇게 한다’는 뜻이다.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역지사지의 뜻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다. 찾아보니 중국과 일본에서는 ‘역지사지’라는 사자성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역지사지라는 것은 한국만의 독특한 해석일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