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 유지가 아닌 기업에 필요한 핀포인트 지원 필요” [start-up] [서울시창업지원정책, 전문가에게 묻다 ⑧] “확실히 바뀐 분위기를 체감한다” 목진건 스파크플러스 대표는 “2011년 창업을 했을 당시만 해도 창업 정책이 정부 주도로 이뤄졌다면 이제는 민간을 많이 믿어주는 분위기”라고 봤다. 창업 정책 기조가 민간이 주도하고 공공이 지원하는 방향으로 재편되면서 공공과 민간이 손잡고 창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서울시 산하 서울창업허브는 지난해부터 33개 벤처캐피탈과 액셀러레이터와 손잡고 스타트업을 발굴, 지원하고 있다. 벤처캐피탈과 액셀러레이터가 심사 단계에 참여해 성장 가능성 높은 기업을 선발하면 공공이 이들 기업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지난해 이 같은 방식으로 발굴한 기업은 62개사다.
목 대표는 “기조가 바뀌었다면 이제 세부적인 건 공공과 민간이 경험을 통해 바꿔나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큰 틀에서 보자면 민간이 다루지 못하는 생태계 내 빈 곳을 채워나가는 게 공공의 몫이다. 초기 기업에 인프라를 지원하거나 기업이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줄이는 것도 여기에 해당한다.
이후 기업이 본격적으로 성장을 ‘증명’해야 할 때는 민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