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질 대신 통신비 절감 이통3사 선택과 집중 나서나 [카테고리 설정이 아직되어 있지 않습니다.]
KT가 삼성전자와 40만원대 5G 스마트폰을 이달 출시했다./ 사진=KT샵 캡쳐
[데일리임팩트 황재희 기자] 이통3사들이 정부의 통신비 인하 방침에 맞춰 관련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KT는 삼성전자의 중저가 단말기를 최근 단독 출시했고, SK텔레콤은 5G 단말기의 LTE 교차 가입을 이달 중 허용할 방침이다. LG유플러스는 이미 지난달 3만원대 5G 맞춤형 요금제를 선보인 데 이어, 오프라인 혜택을 강화했다. 통신 시장 경쟁 본격화라는 정부의 의도대로 상황이 흘러간 셈이다.
이용자 편익이 확대됐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현상이지만, 일각에서는 우려의 목소리도 제기된다. 이미 5G 시장이 성숙기에 진입한 시점에 이용자의 선택권 확대에 나서면서 정작 품질 개선 문제는 뒷전으로 밀려나게 됐다는 지적이다. 요금 인하를 통해 수익성이 낮아졌다는 핑계로 앞으로 통신사들이 5G 품질 투자를 게을리 할 수 있기 때문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가계 통신비 부담 완화 대책을 이달 초 발표했다. 정부 대책의 핵심은 고가의 5G 요금제와 단말기 판매를 결합한 통신사의 일방적인 판매 방식을 저가 요금제와 저가 단말기로 확대해 통신 서비스 선택의 폭을 넓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 5G 요금제는 3~4만원대 저가 상품을 내놓고 중저가 단말도 확대 판매하기로 했다. 그간 통신사는 저용량 데이터 대신 고용량 데이터에 치중된 5G 요금제로 고객 선택의 폭을 제한해왔다. 100만원을 훌쩍 뛰어넘는 플래그십 단말기 역시 가계 통신비 부담의 주 원인으로 지목돼왔다.
5G 와 LTE 간 교차 가입을 허용하게 된다. 통신사 대리점을 통해 구입한 5G 단말기는 기존에는 고가의 5G 요금제만 가입하도록 강제해왔는데 앞으론 LTE 요금제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통신3사는 정부의 이같은 기조에 맞춘 방안을 내놓고 있다. KT는 5G 중저가 단말을 단독으로 이달 출시했다. 지난 10일부터 삼성전자의 40만원대 5G 스마트폰 모델인 갤럭시 점프3를 대리점과 온라인을 통해 판매 중이다. 기존 플래그십폰인 갤럭시S23 보다 가격이 60% 가량 더 저렴하지만 고용량의 게임이나 영상 구현도 할 수 있는 칩셋을 장착해 중장년층 뿐 아니라 젊은층도 공략하고 있다.
SK텔레콤(SKT)은 5G와 LTE 간 요금제 교차 이동을 연내 허용할 방침이다. 지난 10일 열린 3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김지영 통합마케팅전략 담당은 "5G 단말로 LTE 요금을 이용하고 LTE 단말로 5G요금을 이용하는 방안을 이르면 이달 내에 시행하겠다"라고 밝혔다.
LG유플러스는 5G 맞춤형 요금제 너겟의 오프라인 혜택을 강화하고 있다. /사진=LGU+
LG유플러스는 지난달 5G 맞춤 요금제인 너겟을 출시하고 오프라인 혜택을 강화하고 있다. 너겟은 기존 온라인 전용 다이렉트 요금제 최저용량이 8GB 라는 점에 착안해 데이터 저용량 구간을 1GB부터 2GB 구간 단위로 분류, 가장 낮은 1GB의 데이터 사용자의 경우 월 3만원, 24GB는 4만5000원을 지불하면 된다.
이통3사의 이같은 서비스 개편은 정부의 가계 통신비 절감을 위한 기조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3사가 독점한 통신 시장의 경쟁 촉진을 기대하고 있다. 다만 정작 중요한 5G 서비스 품질 투자 등에 대한 내용은 포함돼 있지 않아 자칫 서비스 품질 개선에는 소홀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과기부의 무선통신서비스 가입현황 통계에 따르면 지난 9월말 기준 5G 가입자 수는 이통3사 합산 3179만명이다. 이통3사는 지난 2019년 4월 5G 상용화 이후 LTE보다 서비스 품질과 속도가 월등히 높다는 것을 내세웠고 올 4월 가입자 3000만명을 돌파했다.
앞으로 5개월 후면 5G 상용화 5년을 맞이하는데, 5G는 이제 이통3사의 주 수익원으로 역할을 해내고 있다. 올해 역시 견조한 5G 가입자 증가로 분기마다 영업익 1조원을 돌파했다.
그럼에도 이통3사는 투자 속도를 조절하는 모습이다. 통신 시장이 사실상 정체로 접어든 뒤 당장 돈이 되는 3.5㎓ 투자엔 적극적이었던 반면, 28㎓는 소극적이었다. 3.5㎓는 전국망 구축에 쓰이는 주파수인 데 반해 28㎓는 대형경기장·지하철 등에서 사용된다. '진짜 5G'로 불리지만 이통3사 모두 의무 구축량(기지국 1만5000개)을 채우지 못해 주파수 할당이 취소됐다.
5G가 수익 기반이었던 점을 감안할 때, 관련 서비스 다각화는 이통사들의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 인공지능(AI) 기반의 신사업을 공격적으로 확장 중이어서다. 게다가 최근 이통3사는 기업가치 제고에 열을 올리고 있다. 주가 부양을 위한 실적 관리에 민감해졌다는 뜻이다. 올해 매 분기 1조원이 넘는 영업이익을 올려왔던 만큼, 향후에도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는 데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통3사가 선택과 집중에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통신 투자는 조절하는 대신 고성장이 예고된 AI 신사업에 무게를 싣는 것이다. 실적 방어와 미래 동력 확보를 동시에 충족시키기 위한 전략인 셈이다. 5G 속도는 LTE보다 5~6배 빠른 수준, 이용자의 기대치에 못 미치는 품질을 당분간 감내해야 할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데일리임팩트에 "통신사들은 그간 5G 이동통신 사업을 안정적으로 영위하며 매출 감소 우려 없이 높은 수익을 올려왔는데 정작 이용자 편익을 위한 서비스 개편에는 미흡했다"라며 "통신이 공공재에 속하는 만큼 요금제 인하 외에 서비스 속도 등 품질에 대한 고민 역시 계속 필요하고, 통신 품질 평가도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