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용적 금융 확산’에 함께할 체인지메이커를 찾습니다 [뉴스] ‘포용적 금융의 확대’. 최근 문재인 정부가 강조하는 금융혁신의 키워드다. 지난 14일 문재인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중소기업, 소상공인, 창업자들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도록 금융 부담 경감 등 혁신 과제들을 빠르게 추진할 것”을 당부했다. 같은 날 최종구 금융위원장도 “향후 3년간 8조원 규모로 조성되는 ‘성장지원펀드 운영 방안’과 담보 자산이 부족한 혁신창업기업의 원활한 자금 조달을 지원하는 ‘동산금융 활성화 방안’ 등을 곧 발표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금융 소외 문제는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2008년 대부업체의 고금리 상품을 이용하는 거래자는 약 130만명. 2015년엔 267만명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2016 금융위원회). 60대 이상 인구 중 인터넷뱅킹 사용자는 9.5%, 모바일뱅킹 사용자는 6.8%에 불과하다. 20대 청년층의 금융 이해도 역시 OECD 16개국의 평균치를 밑도는 상황(2016 한국은행). 전문가들은 “정부 예산의 한계를 감안할 때, 특히 금융 소외계층을 위한 민간 기업의 혁신적인 지원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금융 소외를 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