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초대장  
페이지투미   페이지투미 플러스
페이지투미 홈   서비스 소개   아카이브   이야기   이용 안내
페이지투미는 사회혁신 분야의 새로운 정보를 모아 일주일에 3번, 메일로 발송해드립니다.

link 세부 정보

정보 바로가기 : 공시인가, 사보인가? 한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오류 사건, 재발 막으려면...

공시인가, 사보인가? 한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오류 사건, 재발 막으려면...
[카테고리 설정이 아직되어 있지 않습니다.]
최근 한국전력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가 오류투성이라는 기사가 나와 화제가 됐다. 이 기사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의 영문 번역과 수치 등 오류가 있는 사항을 낱낱이 짚어내며 1억5000만원의 거금을 들여 만들었는데도 결과물이 수준 이하라고 비판했다. 기사의 결론은 ▲제목처럼 한전의 김동철 사장이 이 보고서를 읽고 문제의식을 느끼라는 것과 ▲기업의 담당자들이 “지속가능보고서의 발간을 트렌드에 급급해 쏟아내는 기업 홍보물로 봐서는 안 된다는 경각심과 자성의 목소리가 높아져야 한다”는 것이었다.  과연 저퀄리티 지속가능경영보고서가 양산되는 문제는 무엇일까. <임팩트온>은 익명을 전제로 보고서가 작성되는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봤다.  문제로 지적됐던 한국전력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한국전력   경영진, 예산 삭감과 실무자 채용 안해…저가 수주로 보고서 퀄리티 낮아져 실무자들은 입을 모아 기업 의사결정권자들의 인식이 지속가능경영보고서 품질을 결정한다고 말한다.   국내 대기업의 ESG실무자 A씨는 “대부분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작성, 디자인, 검증을 한꺼번에 컨설팅사에 맡기고 일부는 하도급을 주는 형태로 이뤄진다”라며 “10위권 내 대기업도 실무 담당자들이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업무와 평가 대응 등 여러 ESG 업무를 겸임하고 있어 보고서 발간에 몰입하기가 어려워 이런 방식으로 이뤄진다”고 설명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ESG 부서장이나 경영층들도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홍보물 정도로 평가 절하하며 컨설팅 업체에 맡기면 알아서 해주는 업무로 인식하고 있다는 게 그의 의견이다. A씨는 “의사결정권자들의 이런 인식은 곧 ESG 부서에 대한 예산과 실무자의 부족, 컨설팅에 대한 저가 수주문제로 이어지고, 지속가능경영 보고서의 퀄리티는 낮아지는 악순환의 고리가 형성된다”고 지적했다.  이는 국내 기업 실무자들이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상황으로 확인된다. 실무자 B씨도 임팩트온과의 인터뷰에서 “사람과 예산이 부족한데도 불구하고, 공시와 평가, 사업을 모두 수행해야 하는게 너무 힘들다”며 개선될 것 같냐는 질문에는 “당분간은 이렇게 갈 것 같다”고 답했다. 실무자 C씨는 “임원진을 포함한 리더십이 관심이 없다 보니, 보고서의 퀄리티를 올려야 하는 담당자에게 재무 및 비재무적 인센티브가 부족하다”면서 “공시 표준도 아직 제대로 확립되지 않아서 기업의 입맛에 맞는 공시를 하다 보니 공시인지 사보인지 헷갈릴 때도 있다”고 솔직하게 인정하기도 했다.   경영진을 움직이는 세 가지 코드…사내 전문 인력 확충도 필수  저퀄리티 보고서가 만들어지는 것은 수요와 공급 차원의 구조 때문이기도 하다. 지속가능성 컨설팅 업계에 오랜 기간 종사한 한 관계자 D씨는 “1억이 아니라 3000만원, 심지어는 700만원에 보고서를 써준다는 컨설팅 업체도 있다”라며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쓰는 국내 기업은 200개 정도인 데 반해 컨설팅 업체 수는 이를 훨씬 더 상회하기에 이런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기업 수가 적은 게 문제의 본질은 아니고, 신뢰할 수 있는 고품질의 데이터에 대한 수요가 적다는 점이 핵심이었다. 그는 “국내는 인증 체계나 기준이 명확하게 세워져 있지 않고 데이터의 신뢰성에 대한 문제를 크게 제기하지 않기 때문에, 품질이 보장되지 않더라도 기업은 보고서 작성 예산을 삭감하고 저가 수주를 하라는 의사결정을 하는 악순환의 고리가 형성되어 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상황이 해결되려면, 지속가능성 정보가 사업의 명운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된다는 게 일반적인 인식이 되는 생태계가 마련돼야 한다고 그는 말했다. D씨는 “경영진이 움직이는 순간은 ESG 이슈가 기업에 재무적인 영향, 즉 돈으로 보일 때”라며 “한국은 지속가능성 부문에서 이들을 움직일만한 생태계가 잘 형성되고 있지 않은 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기업의 동력을 크게 투자, 수출, 공급망으로 정리했다. 투자자가 ESG를 투자 의사결정에 반영해야, 기업도 자금 조달을 위해 고려한다는 게 첫 번째다. D씨는 “일본과 영국, 유럽을 비교해 보면 금방 알 수 있다. 해당 국가의 연기금은 ESG를 적극적으로 고려하므로 여기에서 자금을 받는 투자사, 증권사도 지속가능성을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내린다”며 “국민연금이 ESG 투자에 관한 강력한 지침만 내도 큰 변화가 있을 텐데, 그렇지 않는다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두 번째로 수출 기업은 그나마 상황이 조금 낫다. 유럽이나 미국 등 해외발 ESG 규제에 대응해야 하므로 경영진이 이를 상대적으로 중요한 리스크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26년 1월1일부터 적용되는 EU 탄소중립국경제도(CBAM)가 대표적인 사례다. CBAM이 우선 적용하는 알루미늄이나 철강에 직접적으로 연관된 포스코와 같은 기업은 CBAM 인증서에 쓰는 비용을 줄이기 위해 탄소배출량을 줄이는 것이 사업에서 급한 현안이 되어 있다. D씨는 “규제 대응이 안 되면 수출이 어려워지고 이는 대외 경쟁력과도 맞물리는만큼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아직 이를 체감하지 못하는 중소⋅중견 기업에게도 리스크는 사실 코 앞까지 밀려들어오고 있다. 그가 말한 대외 경쟁력은 세 번째 사항인 공급망과도 연결된다. 최근 마이크로소프트(MS)가 스코프3 탄소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공급망의 협력 기업에 압박 수위를 높였다. D씨는 “MS의 공급망에는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와 같은 국내 반도체 기업들이 들어있고, MS의 압박으로 공급망 탈락에 대한 위기감이 조성되고 있다”라며 “삼성전자도  1억4000만톤의 배출량 중 스코프3 배출량이 1억2000만톤으로 협력업체에 감축 요구를 강하게 할 수밖에 없다. 국내 대기업들이 받는 외부 압력이 중소⋅중견 공급망 기업으로 점차 넘어오고 있으니 이를 빠르게 인지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국전력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가 오류투성이인 이유도 이런 접근으로 해석이 된다. D씨는 “한전이 수출이나 공급망에 대한 압박은 적고, 국민연금과 같은 투자자도 ESG에 대한 압력을 크게 가하지 않으니, 경영진도 다른 부문에 비해 덜 중요하게 여기게 된다”라고 말했다. 또한 기업 내에 전문 인력이 확충돼야 한다는 점도 강조됐다. 그는 “제안요청서(RFP)만 봐도 의뢰자가 이에 대한 지식이 얼마나 있는지 알 수 있다”라며 “ESG는 공부할 내용이 많아서 업무 적응이 쉽지 않은데, 한전만 봐도 2년에 한 번 순환보직으로 담당자가 바뀌므로 RFP를 잘 쓰기 힘들다”라며 전문 인력을 잘 확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근 3주간 링크를 확인한 사용자 수

검색 키워드


주소 : (01811)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로 232 서울테크노파크 903호
전화: +82-70-8692-0392
Email: help@treeple.net

© 2016~2024. TreepleN Co.,Ltd. All Right Reserved. / System Updated

회사소개 / 서비스소개 / 문의하기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