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초대장  
페이지투미   페이지투미 플러스
페이지투미 홈   서비스 소개   아카이브   이야기   이용 안내
페이지투미는 사회혁신 분야의 새로운 정보를 모아 일주일에 3번, 메일로 발송해드립니다.

link 세부 정보

정보 바로가기 : 티빙 요금인상 넷플릭스 공유금지..스트림플레이션 올까?

티빙 요금인상 넷플릭스 공유금지..스트림플레이션 올까?
[카테고리 설정이 아직되어 있지 않습니다.]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OTT) 관련 이미지. /사진=이미지투데이 [데일리임팩트 황재희 기자] 국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업계 내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넷플릭스와 티빙이 신규 서비스 개편안을 발표했다. 티빙이 이달 1일 구독료 인상을 핵심으로 하는 개편안을 내놓은지 하루만에 넷플릭스가 계정 공유 유료화와 관련된 메일을 이용자에게 알렸다.  이와 관련 OTT 이용자들 사이에선 스트림플레이션(스트리밍+인플레이션)이 가속화된다는 평가다. 티빙이 가격 인상 대열에 합류하며 그간 요금 인상이 없던 웨이브 등 토종 OTT도 구독료 인상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티빙과 넷플릭스는 하루 차이로 서비스 개편안을 공개, OTT 업계에 가격 인상이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먼저 티빙은 다음달 1일부터 신규 가입자를 대상으로 최대 23.9% 월 구독료를 인상한다. 현재 웹 결제 가격 기준으로 베이직은 월 9500원(기존 7900원), 스탠다드 1만3500원(기존 1만900원), 프리미엄 월 1만7000원(기존 1만3900원)으로 가격이 비싸진다.  기존 티빙 가입자들은 현재 인앱결제 수준을 적용해 베이직 9000원, 스탠다드 1만2500원, 프리미엄 1만6000원을 지불해야 한다. 이와 함께 월 5500원의 광고형 요금제도 내년 1분기에 도입하게 된다. 전체적으로 넷플릭스의 현 요금제와 같은 수준을 보이게 되는 것이다.  토종 OTT의 대표격인 티빙이 가격을 올리면 다른 업체들도 이를 따를 공산이 크다. 다만 콘텐츠의 다양성과 오리지날 작품 확보라는 측면에서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등 해외 OTT 와의 경쟁에서 밀린다는 의견도 있어 이용자 이탈이 일어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이같은 위험 요인에도 구독료 인상을 택한 이유는 늘어나는 적자에 수익성 회복이 급한 탓이다. 지난 2020년 CJ ENM 독립법인 출범 후 61억원이었던 티빙의 적자는 2년후인 지난해 1191억원까지 불어났다. 적자 행진은 웨이브와 왓챠 역시 마찬가지다. 지난해 각각 1217억원, 555억원의 적자를 냈다. 경쟁업체인 해외 OTT사가 가격을  인상한 것도 토종OTT 구독료 인상에 영향을 준 듯 보인다. 디즈니플러스 역시 이달부터 프리미엄 요금제 가격을 월 9900원에서 1만3900원으로 40% 가량 인상했다.  이 와중에 국내 OTT시장을 독주하고 있는 넷플릭스마저 이용자 혜택을 축소하며 사실상 가격 인상을 담은 서비스 개편안을 내놨다. 국내 시장도 북미나 남미, 아시아의 다른 지역에서와 같이 계정 공유 유료화가 추진되는 것이다. 넷플릭스는 2일 이같은 내용의 알림을 통해 자사 멤버십 회원 본인과 함께 거주하는 구성원에게만 계정 공유를 할 수 있게 제한했다. 같은 집에 거주하지 않으면 매달 5000원의 추가 요금이 발생하게 된다.   디즈니플러스 역시 내년부터 계정공유 금지 약관을 신설할 예정이다. 해외 OTT업계의 이같은 전략에는 신규 가입자 확보가 힘든 상황에서 추가 구독료를 통해 수익을 늘리겠다는 속셈이 깔려있다.  OTT 업계의 이같은 서비스 개편은 '비싸도 볼 사람은 본다'는 자신감 때문이다. 실제로 오픈서베이가 최근 발표한 'OTT 서비스 트렌드 2023' 에 따르면 이용자들이 OTT서비스 이용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상위 요소 5개 중 4개는 모두 콘텐츠에 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 중 콘텐츠 다양성(44.8%)이 OTT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고 이어서 최신 작품과 신작 콘텐츠 보유 여부(37%), 독점 오리지날 콘텐츠 다양성(22.5%), 장르 다양성(20.5%) 등 모두 콘텐츠를 우선 순위로 꼽았다. 다만 구독료 역시 42%로 2위를 차지했다. 결국 고품질의 콘텐츠를 다양하게 갖추면서 구독료를 낮춰야 이용자의 이탈을 막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그동안 국내 OTT업계는 해외 OTT 대비 저렴한 요금 정책을 지속해왔는데 가격 경쟁력이 이용자 증가로 이어지진 않았다"며 "안정적인 수익원을 확보해야 퀄리티 높은 콘텐츠에 대한 투자도 가능해지기에 구독료 인상은 불가피한 부분이 있다"고 밝혔다.   


최근 3주간 링크를 확인한 사용자 수


주소 : (01811)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로 232 서울테크노파크 903호
전화: +82-70-8692-0392
Email: help@treeple.net

© 2016~2025. TreepleN Co.,Ltd. All Right Reserved. / System Updated

회사소개 / 서비스소개 / 문의하기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