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미룰수록 행복한 퇴직은 힘들다 (하)
자리 수와 사람 수의 불일치 과거에 ‘왜 40 중반이 되면 회사생활이 어려워지는가?’라는 질문에 대답하면서 쓴 블로그가 있다. 내 이론(?)에 의하면, 회사에는 직급에 따른 보직 ...
뒤로 미룰수록 행복한 퇴직은 힘들다 (상)
왜 나이 들수록 직장에서 나오기가 힘든가? 얼마 전 중앙부처에 근무하는 공무원으로부터 상담을 요청하는 전화를 받았다. 공공부문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는 개발협력 강의를 들으면서 강의...
[농촌진흥청] 농업 ODA 전문가 과정
그 이전에는 한, 두 과목만 담당하다가 2022년부터 이 과정의 주강사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매년 상, 하반기 3(혹은 4)일씩 진행되는, 섹터별 과정으로는 가장 깊이있는 과정이 ...
어떤 사업이든 ODA로 지원할 수 있을까?
될 것 같지만 안되는 사업과 안될 것 같지만 되는 사업 저는 학부에서 개발협력과 무관한 전공을 했는데, 개발협력 일을 할 수 있을까요?” 라는 질문을 가끔 받는다. 그럴 때마다 ...
기업에서의 개발협력 경력이란?
수년째 KOICA의 경력개발 지원 사업인 STEP-UP 프로그램에서 기업활동과 관련된 강의를 맡고 있다. 강의 외에 ‘진로탐색 네트워킹’이라는 분야별 실무자와의 만남 시간에 사회를...
우리는 몇 살까지 일할 것인가?
직업과 수명 통계로 구성해본 한국인의 일생 1932년생으로 올해 92세인 가천대 이길여 총장처럼 엄청난 사례가 아니어도, 정년이 한참 지난 나이에 직업을 가지고 일하는 경우는 흔하...
숨 떨어질 때까지 키보드에서 손을 떼지 마라
50대 중반, 독립한 지 10년을 넘어선 1인기업인 나에게 가장 많은 질문은 ‘퇴직 후 자기 일을 계속하려면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이지 싶다. 이 질문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여러...
목표는 아프리카 정부가 아니라 시장이다
지난 1월에 쓴 아래 블로그에서는 KT가 단말기 공급은 하지 않고 정부와의 사업권 계약에만 기대다가 시장에서 퇴출된 얘기를 해봤다. 이번에는 정반대의 성공사례로서, 중국 단말기 업...
중간평가니까 영향력은 평가하지 않는다?(하)
과거를 비판하는 게 아니라 미래를 바꾸는 평가 이렇듯 평가가 ‘과거부터 현재까지 이룬 것을 측정’하는 것이라는 오해는 우리에게 매우 체계적이다. 이러한 오해를 기반으로 하면, 중간...
중간평가니까 영향력은 평가하지 않는다? (상)
평가 시기(종류)별로 적용하는 평가기준이 다르다는 (결론적으로 완전히 틀린) 얘기는 종종 들어왔지만, 개발협력 평가에 대해 잘못 이해하는 일부에서나 그러겠지… 하고 별로 신경쓰지 ...
개발협력을 꿈꾸는 학부생을 위한 진로상담
개발협력에서 컨설턴트로 현장 일을 하면서 대중과의 소통도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가끔 (사실은 꽤 자주) 경력개발 상담 요청을 받는다. 주로 현업에 근무중인 분들이나, 은퇴를 앞...
CTS와 임팩트 투자의 투자 vs. 성과 (하)
임팩트 투자의 이상한 관행 CTS 프로그램은 미국 DIV와는 달리 비교가능한 정량 성과를 표시하지 않는다. 심지어 투입 자금을 언급조차 하지 않는다. 이런 행태가 어디서 연유했을까...
CTS와 임팩트 투자의 투자 vs. 성과 (중)
성과를 표현하는 상식적 논리 뭔가 크게 허전하다. 앞서 다룬 다섯가지 성과에서 공통적으로 빠진 것이 있다. 어떤 자원을 써서 즉, 얼마를 투자해서 그런 성과를 시현했느냐 하는 상식...
CTS와 임팩트 투자의 투자 vs. 성과 (상)
CTS의 성과는 무엇이어야 하는가 CTS는 ‘혁신적 기술 프로그램(Creative Technology Solution)’이라는, KOICA가 기업과 협력하는 한 방식이다. KO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