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초대장  
페이지투미   페이지투미 플러스
페이지투미 홈   서비스 소개   아카이브   이야기   이용 안내
페이지투미는 사회혁신 분야의 새로운 정보를 모아 일주일에 3번, 메일로 발송해드립니다.

최근 수집 정보

수집 사이트 수 : 100
수집된 정보 : 133,075
총 태그 수 : 47,732
매칭된 태그 수 : 1,473,566
사이트 수 : 14
수집 정보 수 : 246

카테고리별 정보보기 : 칼럼(748)

세부 정보 보기

[수집 정보] 카테고리 정보 수집량

세부 정보 닫기
뒤로 미룰수록 행복한 퇴직은 힘들다 (하)
자리 수와 사람 수의 불일치 과거에 ‘왜 40 중반이 되면 회사생활이 어려워지는가?’라는 질문에 대답하면서 쓴 블로그가 있다. 내 이론(?)에 의하면, 회사에는 직급에 따른 보직 ...
수록  공급  시작  성과  회사  행복  변화  기업  퇴직  
1    칼럼  |   |  2025-02-24
뒤로 미룰수록 행복한 퇴직은 힘들다 (상)
왜 나이 들수록 직장에서 나오기가 힘든가? 얼마 전 중앙부처에 근무하는 공무원으로부터 상담을 요청하는 전화를 받았다. 공공부문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는 개발협력 강의를 들으면서 강의...
수록  이후  중앙  지금  대상  시작  부문  올해  세계  행복  대학  협력  개발  퇴직  
1    칼럼  |   |  2025-02-24
[농촌진흥청] 농업 ODA 전문가 과정
그 이전에는 한, 두 과목만 담당하다가 2022년부터 이 과정의 주강사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매년 상, 하반기 3(혹은 4)일씩 진행되는, 섹터별 과정으로는 가장 깊이있는 과정이 ...
흥청  진행  지금  전문  관리  수강  성과  농촌  사업  참여  과정  농업  전문가  ODA  교육  
칼럼  |   |  2025-02-17
더도 덜도 없이 딱 맞는 ODA 사업 작명법 (하)
앞서 다룬 사례 외에도 쓰지 않아도 아무 문제없는 ‘~을 위한’은 많다. 아래 예로 든 사업들 가운데 빨강색으로 표시한 부분이 꼭 들어가야 하는 사업명이 있을까? • 탄자니아 잔지...
1    칼럼  |   |  2025-02-07
더도 덜도 없이 딱 맞는 ODA 사업 작명법 (상)
제목만 보고도 전체를 알 수 있게 하라 문서 제목을 짓는 원칙은 제목만으로 그 내용을 알 수 있는 하는 것이다. 제목을 읽어보고도 그 내용이 무엇인지 알 수 없다면, 그 제목은 잘...
작명  관련  문제  사업  정보  ODA  
1    칼럼  |   |  2025-02-07
어떤 사업이든 ODA로 지원할 수 있을까?
될 것 같지만 안되는 사업과 안될 것 같지만 되는 사업 저는 학부에서 개발협력과 무관한 전공을 했는데, 개발협력 일을 할 수 있을까요?” 라는 질문을 가끔 받는다. 그럴 때마다 ...
활용  추진  사업  가치  지원  개발  ODA  
칼럼  |   |  2025-01-14
PBC(Public Benifit Corporation)는 공익법인이 아니다
OpenAI의 PBC 전환을 둘러싼 정반대 해석, 누구 말이 맞나? 내란 사태로 한국이 혼란스러운 2024년말과 2025년초, 기술과 기업 경영에 관심있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이보다...
benifit  pbc  corporation  사이  전환  지금  설립  법인  부문  Public  12  발표  사업  수익  조직  운영  공익  비영리  세상  경영  한국  기업  성공  기술  
칼럼  |   |  2025-01-04
개도국 오프그리드(Off-grid) 시장에 주목하라
이 글은 신재생에너지협회가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에너지공단과 함께 펴내는 신재생에너지 BRIEF 24-12(2024.12.25.)에 기고한 것이다. 출판된 것은 pdf로 첨부했는...
그리드  off  오프  주목  전환  이상  Grid  필요  협회  기준  신규  개도국  12  세계  자원  산업  시장  에너지  한국  투자  
2    칼럼  |   |  2024-12-28
2024 내 블로그 회고
감사원  몰상식  단팥빵  탕감  요구서  특혜  옛날  첨부  반론  관료  전관  분절  대잔치  카르텔  키보드  비하  고려  보살  비판  너머  의사록  ghana  회고  부채  중년  필수  영향력  이후  일부  주인공  사이트  학부  자격  대비  합리  진행  체결  동영상  협의  결과  중간  이번  추적  진실  이상  석사  솔루션  필요  핵심  최근  관련  대상  분야  국제  설립  규모  글로벌  법인  가능  시작  업계  서비스  전문  부문  기관  관리  올해  문제  처분  학위  기준  강화  기반  제품  전자  성과  대응  vs  사항  CTS  평가  IBS  기획  현실  경력  혁신  기록  발표  활동  사업  가치  진로상담  관계  목표  고민  성장  정부  세계  프로그램  대표  지원  공개  해결  운영  참여  임팩트  정보  온라인  사회혁신  설명회  진학  상담  국내  열정  사진  사회  경제  역사  NGO  시간  BOP  대학원  공유  산업  시장  소셜  금융  한국  아이  기업  가나  벤처  고객  과정  블로그  협력  성공  개발  전략  개발마케팅연구소  정책  미국  경력개발  투자  원조  창업  미래  스타트업  기술  아프리카  CSR  개발협력  ODA  교육  
칼럼  |   |  2025-01-17
기업에서의 개발협력 경력이란?
수년째 KOICA의 경력개발 지원 사업인 STEP-UP 프로그램에서 기업활동과 관련된 강의를 맡고 있다. 강의 외에 ‘진로탐색 네트워킹’이라는 분야별 실무자와의 만남 시간에 사회를...
1    칼럼  |   |  2024-11-22
[경력개발 상담] 개발NGO 3년차의 고민 - 대학원 진학과 그 너머
최근 경희대 국제대학원의 개발협력학과 신입생 모집을 도우면서, 관심있는 우리 개발협력계 동료분들의 질문을 받고 대답하고 있습니다. (블로그에 달린 비밀댓글이 다 그렇고, 이메일, ...
1    칼럼  |   |  2024-10-29
우리는 몇 살까지 일할 것인가?
직업과 수명 통계로 구성해본 한국인의 일생 1932년생으로 올해 92세인 가천대 이길여 총장처럼 엄청난 사례가 아니어도, 정년이 한참 지난 나이에 직업을 가지고 일하는 경우는 흔하...
1    칼럼  |   |  2024-10-19
[동영상] 개발협력 온라인 석사과정 설명회 (2024.10.16.)
2024. 10. 16.에 있었던 온라인 설명회 동영상을 공유합니다. 약 1시간 동안 진행된 내용 가운데, 학과장 교수님이 설명하는 내용입니다. 발표자료는 여기↓ 있습니다. 현장에...
칼럼  |   |  2024-10-16
1년만에 개발학 석사학위를, 그것도 온라인으로!?
해외 사무소, 현장에서 일하든, 지방에 살던 아무 문제 없습니다! 한국 국제개발협력 교육의 메카인 경희대 국제대학원에서는 2025년 봄학기부터 1년 3학기만에 온라인 강의만으로 개...
4    칼럼  |   |  2024-09-20
전자정부 ODA 사업의 기획과 평가 - 핵심적 고려사항
ODA 사업에 대한 감사원의 감사가 시간이 갈수록 완성도를 더해가고 있다. 2023년에는 ICT 사업(정보시스템 구축사업 또는 흔히 전자정부 사업)을 중점적으로 들여다 보았는데, ...
고려  페이  외부  결과  핵심  최근  구축  시스  기관  시스템  전자  사항  평가  기획  사업  기회  정부  공개  공공  정보  시간  과정  협력  개발  ODA  
칼럼  |   |  2024-09-03
제대로 된 사업기획이 필요하다 - 감사원 처분요구서 첨부
올해 KOICA에 대한 감사원 감사는 꽤 많은 처분요구를 하고 있다. 아래는 전자정부 사업에 관한 것인데, 가을 학기 강의 소재로 쓰기 위해 일단 링크해 둔다. 그 아래에는 공개된...
2    칼럼  |   |  2024-08-29
숨 떨어질 때까지 키보드에서 손을 떼지 마라
50대 중반, 독립한 지 10년을 넘어선 1인기업인 나에게 가장 많은 질문은 ‘퇴직 후 자기 일을 계속하려면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이지 싶다. 이 질문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여러...
칼럼  |   |  2024-08-05
합리적 비판에 몰상식으로 대응하는 사회혁신, 소셜 임팩트.
비판적 글에 대한 반론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그런데, 반론은커녕 페이스북의 약점(일단 신고가 들어오면 삭제부터 하고 보는 치명적 약점)을 악용해 실체를 숨기고 뒤에서 저격하는 행태...
2    칼럼  |   |  2024-07-27
BOP 빠진 IBS는 팥 없는 단팥빵(하) - BOP 없이는 IBS도 없어
아래 순서로 연재됩니다. (상) 글로벌CSR로 돌아간 IBS (중) IBS 역사의 주인공은 BOP (하) BOP 없이는 IBS도 없어 BOP 시장에 진출할만한 기업의 육성이 필요했...
칼럼  |   |  2024-07-20
BOP 빠진 IBS는 팥 없는 단팥빵(중) - IBS 역사의 주인공은 BOP
아래 순서로 연재됩니다. (상) 글로벌CSR로 돌아간 IBS (중) IBS 역사의 주인공은 BOP (하) BOP 없이는 IBS도 없어 BOP로 시작된 IBS 역사 이제 IBS에서 ...
1    칼럼  |   |  2024-07-19
BOP 빠진 IBS는 팥 없는 단팥빵(상) - 글로벌CSR로 돌아간 IBS
아래 순서로 연재됩니다. (상) 글로벌CSR로 돌아간 IBS (중) IBS 역사의 주인공은 BOP (하) BOP 없이는 IBS도 없어 지난 6월 25일 열린 2024 IBS 공모 ...
칼럼  |   |  2024-07-18
가나(Ghana) 공적부채 탕감이 한국만 주는 특혜는 아냐
주로 국내정치 문제를 다루는 아이엠피터가 이색적으로 국제금융 문제를 다뤘다. 이 기사를 요약하자면, 현 정부가 가나에 빌려준 돈을 탕감해 주기로 했단다,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에게 ...
탕감  특혜  ghana  부채  프리  필요  분야  국제  문제  국가  관계  정부  국내  금융  한국  아이  가나  협력  개발  
1    칼럼  |   |  2024-06-29
목표는 아프리카 정부가 아니라 시장이다
지난 1월에 쓴 아래 블로그에서는 KT가 단말기 공급은 하지 않고 정부와의 사업권 계약에만 기대다가 시장에서 퇴출된 얘기를 해봤다. 이번에는 정반대의 성공사례로서, 중국 단말기 업...
1    칼럼  |   |  2024-06-29
중간평가니까 영향력은 평가하지 않는다?(하)
과거를 비판하는 게 아니라 미래를 바꾸는 평가 이렇듯 평가가 ‘과거부터 현재까지 이룬 것을 측정’하는 것이라는 오해는 우리에게 매우 체계적이다. 이러한 오해를 기반으로 하면, 중간...
칼럼  |   |  2024-06-27
중간평가니까 영향력은 평가하지 않는다? (상)
평가 시기(종류)별로 적용하는 평가기준이 다르다는 (결론적으로 완전히 틀린) 얘기는 종종 들어왔지만, 개발협력 평가에 대해 잘못 이해하는 일부에서나 그러겠지… 하고 별로 신경쓰지 ...
적용  영향력  일부  이해  중간  최근  사례  기준  평가  발표  사업  사회  경제  제도  협력  개발  정책  
1    칼럼  |   |  2024-06-26
개발협력을 꿈꾸는 학부생을 위한 진로상담
개발협력에서 컨설턴트로 현장 일을 하면서 대중과의 소통도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가끔 (사실은 꽤 자주) 경력개발 상담 요청을 받는다. 주로 현업에 근무중인 분들이나, 은퇴를 앞...
1    칼럼  |   |  2024-06-03
CTS와 임팩트 투자의 투자 vs. 성과 (하)
임팩트 투자의 이상한 관행 CTS 프로그램은 미국 DIV와는 달리 비교가능한 정량 성과를 표시하지 않는다. 심지어 투입 자금을 언급조차 하지 않는다. 이런 행태가 어디서 연유했을까...
사이  이상  프로  관련  자산  가능  성과  vs  CTS  프로그램  공개  조직  운영  임팩트  국내  미국  투자  
칼럼  |   |  2024-05-31
CTS와 임팩트 투자의 투자 vs. 성과 (중)
성과를 표현하는 상식적 논리 뭔가 크게 허전하다. 앞서 다룬 다섯가지 성과에서 공통적으로 빠진 것이 있다. 어떤 자원을 써서 즉, 얼마를 투자해서 그런 성과를 시현했느냐 하는 상식...
칼럼  |   |  2024-05-30
CTS와 임팩트 투자의 투자 vs. 성과 (상)
CTS의 성과는 무엇이어야 하는가 CTS는 ‘혁신적 기술 프로그램(Creative Technology Solution)’이라는, KOICA가 기업과 협력하는 한 방식이다. KOIC...
칼럼  |   |  2024-05-29
주소 : (01811)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로 232 서울테크노파크 903호
전화: +82-70-8692-0392
Email: help@treeple.net

© 2016~2025. TreepleN Co.,Ltd. All Right Reserved. / System Updated

회사소개 / 서비스소개 / 문의하기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Top